본문 바로가기

매드의 정보통

신기한 유튜브 알고리즘-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다-

 

안녕하세요 

광고에 미친 광고 전문가들

매드 코퍼레이션 인사드립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유튜브 알고리즘, 유튜브를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가장 각광받는 광고 중 한 가지가 바로 

유튜브를 통한 광고방법인데요.

단순히 유튜브를 통해 광고를 하는 걸 넘어

자사의 유튜브를 알리는 것도 중요하겠죠?

 

오늘은 이런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물론 유튜브, 구글의 직원이 아닌 만큼 이 내용은 공식 오피셜은 아님을 미리 전합니다.

 

 

1. 신비로운 유튜브 알고리즘

기본적으로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구글 계정의 검색어 

즉 키워드를 기본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먹방을 자주 보고 먹방을 검색하는 사람에게는 먹방 유튜버들이

추천 영상으로 자주 나오게 된다는 기본적인 내용이죠.

 

하지만 매일 먹방만 본다고 해서 먹방에 대한 콘텐츠만

추천 영상으로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하나의 방송에는 하나의 콘텐츠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유튜브는 기본적으로 검색 키워드를 기준으로 추천 영상을 제공하나

반대로 영상의 내용에 대한 관련 영상도 추천 영상으로 제공을 합니다.

 

어떤 먹방 유튜버가 있고 오늘 이 영상을 시청했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먹방 유튜버가 먹은 음식은 김치찌개였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김치찌개라는 키워드가 추천목록에 들어가게 되는 거죠.

예상을 해보자면 이 경우 유튜브 시청자에게 유튜브가 제공하는 

추천 키워드는 이런 식이 됩니다.

 

(시청 유튜버, 김치찌개, 먹방, 김치, 김치찌개 맛집)

또한 이 영상을 봄으로 인해 받게 되는 영향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단순히 이 영상 하나의 내용은 아닙니다.

이 먹방을 본 다른 시청자들이 자주 보는 유튜버들도 추천 목록에 들어가게 됩니다.

같은 영상을 본 다른 시청자들이 주로 보는 다른 유튜브 방송들도 추천목록에 뜨게 되는 거죠.

이런 식으로 유튜브는 다양한 부분에서 추천 영상을 제공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매일 먹방만 봤는데 뜬금없이 게임 유튜버, 시사 유튜버 등이 추천 영상에 뜨게 되는 거죠.

또한 이런 내용은 중복되는 항목이 있다면 이 내용을 올리는 유튜버의 영상이 추천목록에 뜨게 됩니다.

예를 들어 회, 생선, 수산시장 등과 관련이 된 영상을 본다면

 

먹방, 회, 생선, 수산시장, 해산물 등의 키워드를 가진 유튜버를 추천하게 되는 거죠.

이런 식으로 유튜브는 하나의 검색어, 키워드만을 보는 게 아닌 하나의 영상을 봐도

이 영상으로부터 찾아낼 수 있는 다양한 키워드를 복합적으로 체크해 

유사한 또는 같은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영상을 추천 영상으로 제공을 하게 됩니다.

 

2. 유튜브 영상은 어떤 콘텐츠를 좋아하나요?

 

일단 기본적으로 유튜브를 시작할 때 찍는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본인이 선택을 하게 되는데요.

선택이야 물론 본인이 하는 것이지만. 가장 기본적인 내용 중 하나가

하나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특히 이런 하나의 콘텐츠를 잡을 때는 너무 포괄적인 내용보다는 하나에 집중을 하는 게 좋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일상'이라는 콘텐츠를 잡고 여행, 음식, 회사, 사는 이야기 등

다양한 이야기를 올리는 채널과 똑같이 시작을 했으나 여행이면 여행

음식이면 음식, 회사면 회사 이렇게 하나의 콘텐츠를 잡는 편이 노출에 훨씬 더 유리함이 있다고 합니다.

 

너무 포괄적인 콘텐츠를 주제로 잡게 될 경우 일종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콘텐츠가 되어버려 노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인데요.

물론 성공한 유튜버 분들 중 일상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성공하신 분들도 분명 많이 있기는 하나

1~2개 정도 메인 콘텐츠를 잡지 않고 운영을 할 경우 해당 채널이 성장하는 데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훨씬 더 많이 든다고 하네요.

 

(성공한 유튜버 모씨의 말로는 본인의 채널 영상 중 유튜브에서 한번 밀어준 콘텐츠가 있다면

해당 콘텐츠에 집중하면 효과가 좋다는 이야기를 해주신 적이 있었습니다.)

 

 

3. 왜 구독과 좋아요, 알람 설정을 부탁하죠?

 

유튜브 채널 운영을 취미로 하는 분들이라면 시청자에게 이런 요청을 하실 필요가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적더라도 수익을 내고 싶거나 본격적으로 유튜브 채널 운영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10중 8~9가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을 해달라는 부탁을 영상의 후미 또는 시작 때 하고는 합니다.

 

유튜브의 수익 구조는 이런 구독, 좋아요, 알람 설정은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데 

왜 이런 걸 부탁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1번에서 설명했던 유튜브의 추천 영상과 관련이 있는데요.

유튜브의 수익구조는 결국 광고 노출이라는 하나의 결과로 정리가 되는데요.

 

알람 설정을 했다 = 내 채널의 새영상이 올라갔을때 볼 확률을 높여준다.(조회수 상승)

구독과 좋아요 = 내 영상의 고정 시청자들과 유사 영상을 보는 사람들에게 추천된다

라는 점 때문입니다.(추가적인 시청자 확보)

 

1차적으로는 내 영상을 보는 시청자의 영상 조회수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고 

2차적으로는 꼭 나를 모르는 다른 사람에게 내 영상이 노출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라는 2가지 이유가 구독과 좋아요, 알람설정을 부탁하는 이유에 해당합니다.

 

4. 영상의 길이는 어느 정도가 좋나요?

유튜브를 하는 분들을 보면 영상의 길이(시간)가 어느 정도 겹친다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통상 5분 전후, 10분 전후 정도의 영상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데요.

(물론 5분 미만, 7~8분 등 그 중간, 10분을 훌쩍 넘는 영상 또한 굉장히 많은 숫자가 존재합니다.)

 

편집된 영상의 시간이 이렇게 정해진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또한 유튜브의 수익구조와 연관이 있는데요.

통상 5분에 1회의 광고가 10분에 2회의 광고가 노출이 된다고 합니다.

 

내가 찍은 영상이 짧거나, 하이라이트가 적다면 5분 내외로

영상이 길거나 하이라이트가 많다면 10분 내외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죠.

 

단순 취미, 일기의 형태라면 이런 시간까지 신경을 쓸 필요는 없겠지만

취미이긴 하나 수익을 조금이라도 만들고 싶어 거나 본업으로 유튜브를 하시는 분들의

영상길이가 5~10분 내외인 이유는 이런 이유로 인해 설정이 된 거라고 하네요.

 

간혹 이런 이야기를 드리면 그렇다면 20분, 30분짜리 영상을 올리는 게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더 도움이 되지 않느냐 라고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틀린 말은 아니지만 10분 이상으로 영상이 길어질 경우 접근성이 떨어져

조회수 자체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어 너무 긴 영상은 피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네요.

 

 

오늘은 이렇게 유튜브 알고리즘, 유튜브의 수익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작성해봤는데요.

유튜브를 처음 시작하시려는 분, 좀 더 본격적으로 운영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겠네요(너무 기본적인 내용이었을까요?)

 

다음 편은 유튜브에 적합한 광고의 형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 하니

광고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유튜브 알고리즘 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